주성엔지니어링 2

반도체 주식 매도 전략 (feat. 주성엔지니어링, 개인 투자 기록)

1. Intro: 반도체 주식을 언제 팔아야 할까?반도체 주식을 언제 사고 팔아야 되는가는 이미 너무 많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.재고를 기준으로 생각하든, DRAM이나 NAND 가격으로 생각하든, 반도체 대표주 주가나 PBR로 생각을 하든, 경기선행지수를 보든 대충 비슷한 말을 하고 있습니다. 정해진 미래인 턴어라운드를 보고, 나쁠 때 싸게 사서 좋을 때 비싸게 팔라는 어찌보면 당연한 소리죠... 하지만, 이론과 실전은 다른 법입니다. 반도체 주식을 싸게 잘 샀다고 하더라도, 까딱 잘못하면 그간 벌었던 수익을 고스란히 되돌릴 수 있다는 것은 반도체 주식을 투자해보셨던 분들이라면 잘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.  본 게시글은 개인 경험에 기반하여 반도체 주식을 언제 팔아야 하는가? 에 대해서 저 나름의 전략을 ..

산업 - 반도체 2025.03.27

분할 반대의사 및 매수청구 신청 방법 (feat. 주성엔지니어링 인적/물적 분할)

0. 방법 설명 전에 공시 및 배경을 잠깐 설명하자면 (Skip 하셔도 됩니다)22년 말부터 반도체 재고 바닥 시그널이 보이고, 23년 초부터 하이닉스 및 HBM 관련 후공정 장비 위주로 반도체 모멘텀이 시작되었었습니다.이후에 HBM 관련주와 함께, 차세대 반도체 기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선단 공정 장비를 중심으로 반도체 모멘텀이 있었고, 거기에 주성엔지니어링이 포함이 되었었죠. 결국 HBM은 고성능 DRAM을 적층하여 만드는 것이고, 고성능 차세대 DRAM의 스위치(게이트)를 만들기 위해서는 High-K라는 물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.소자가 작아지니 이제는 원자 단위로 증착을 해야하고 (ALD), ALD 방식으로 High-K 소재를 잘 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. *주성엔지니어링은 ALD 중에서..

투자 일반 2024.09.27